안녕하세요, 유로자전거나라 프랑스 가이드 한지수입니다
1937년 국제 박람회를 위해 지어진 팔레 드 도쿄(Palais de Tokyo)라는 건물은 Quai de Tokio (지금의 Avenue de New York)에서 이름을 따왔습니다. 2012년 모든 공간이 재건된 후, 유럽에서 가장 큰 현대 미술 센터가 된 팔레 드 도쿄는 우리 동시대의 가장 위대한 예술가들이 모여 있는 장소라고 할 수 있습니다. 원래 이름이 현대 미술관의 궁전 (Palais des Musées d'Art Moderne)인 만큼 근현대 미술에 전념하는 박물관입니다. 그래서 이곳은 가장 현대적이고 때로는 난해하기도 한 예술을 보여주고 이를 통해 우리가 미래를 여행 할 수 있게 합니다.
팔레 드 도쿄에는 항상 특별 기획전이 준비 중인데요, 가장 먼저 보이는 « 우분투, 루시드 드림» 이라는 이 전시는, 아직 우리의 상상력과 지식으로 자주 사용되지 않는 공간인 '우분투'에 투자할 것을 제안합니다. '우분투'는 다른 언어로 번역하기 복잡한데 그 의미는 남아프리카의 반투족 언어에서 파생되었으며 인류, 집단 및 환대의 개념을 결합하며 "나는 우리가 있기 때문에 존재합니다 "로 해석될 수 있다고 합니다. 우분투 사상은 사회를 불안정하게 만들고 인류의 전통적 틀을 훼손한 모든 종류의 노예제, 식민주의, 제국주의의 600년에서 살아남은 아프리카 사회의 특징 중 하나로 간주될 수 있습니다. 많은 아프리카 언어와 문화에 뿌리를 둔 우분투 사상은 지역 사회에서 개인의 위치에 대한 개념에서 활발히 적용되고 있다고 합니다. 취지와 의미를 텍스트로는 공감하는데 널린 옷들로만 진행되는 이러한 전시와의 만남은 시작부터 좀 당황스러웠던 것 같습니다.
아래층에는 3개의 전시가 더 있었는데, 가장 먼저 보이는 것은 래퍼인 '제이 라이머’에 관한 전시입니다. « 제이 라미어-계속 불타오르게 »는 라스코 프로젝트 10주년을 기념하여 개신교와 탈식민주의 운동인 프랑스 힙합의 선구자인 아티스트 제이라이머를 초대한 전시입니다. 제이 라이머는 1980년대의 신조화된 리듬으로 된 음악을 만들기 위해 사운드를 샘플링하는 것처럼 그림, 이미지, 아카이브 및 불투명한 사운드를 결합하여 아프리카 디아스포라(특정 민족이 자의적,타의적으로 기존에 살던 땅을 떠나 다른 지역으로 이동하여 집단을 형성하는 것을 의미) 의 내레이션 집단과 그의 가족 이야기에 의문을 제기하는 시각 및 사운드를 조합합니다. 라이머의 음악을 통해 흑인 디아스포라의 교차점을 관찰합니다. 1970년대에 등장한 흑인 미국 음악인 펑크(Funk)에 특별한 관심을 가짐으로써 거기 담긴 삶의 비극과 정치성을 드러낸 것입니다. 그는 정치적으로, 예술적으로 자신을 구축한 힙합의 기원으로 돌아가는 방법을 채택한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다음은, « 사라 말로르: 트리콘티넨탈 시네마 » Sarah Maldoror(1929-2020)의 작업을 다룬 최초의 회고전입니다. 혁명적이고 탈식민적인 영화를 지향하면서, 단호하게 반인종주의적이고 불경한 영화를 만든 감독의 영화적 작업뿐만 아니라 연극적, 시적, 정치적 작품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이 전시에서는 20세기 후반 영화 제작의 특정 역사를 암묵적으로 말해주는 실현되지 않거나 잃어버린 프로젝트와 이질적인 프로덕션으로 가득 찬 비선형 여정을 보여줍니다. 그러면서 사라 말로르의 작업과 영화 제작자, 여성 및 어머니로서의 삶도 연계시켜 놓았습니다. 그녀는 글쓰기, 프레이밍 및 편집을 통해 화면에 배치하고 인종주의에 기반한 담론의 부조리에 초점을 두었습니다.
마지막, « 맥스웰 알렉산더-새로운 힘 »은 리우데자네이루에서 가장 큰 빈민가 중 하나인 Rocinha의 가톨릭 가정에서 태어난 Maxwell Alexandre의 전시입니다. 그는 그림을 "예언적 관습"으로 간주합니다. 그는 아메리칸 드림을 배경으로 아프리카계 브라질인들의 힘과 해방을 그립니다. 인종차별주의를 정면으로 부딪쳐야 할 때도 있지만 그는 누군가를 물리적으로 때릴 용기가 없어서 그림을 그린다고 합니다. 하지만 각자의 방식으로 잘못된 권력에 맞서고 자신의 의견을 표현한다는 것 자체가 역사의 무임승차자들과는 비교할 수 없을 만큼 용기있는 행동이라고 생각이 들었습니다.
전시를 다 보셨다면 나오는 길에 있는 팔레드도쿄의 자랑인(?) 레스토랑을 가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정말 아름답고 근사해서 여유로울 때 와서 커피 한 잔에 샌드위치 한입 정도는 즐기고 나오신다면 좋을 것 같습니다. 또한 식당 맞은 편에는, 필름사진 부스가 있는데요, 가격도 3유로로 합리적이고 디지털카메라가 아닌 필름 사진으로 인화해서 주는 것이라 (4분 정도 소요) 요즘은 잘 보이지 않는 필름사진이라는 희소성을 가졌으니 추억을 남기고 오시길 바랍니다~

주소 : 13, avenue du Président Wilson 75116 Paris
전시일정 : 2021년 11월 26일부터 2022년 3월 13일까지
개장 시간 : Palais de Tokyo는 화요일을 제외하고 정오부터 자정까지 매일 개방합니다. 매년 1월 1일, 5월 1일, 12월 25일 휴무& 12월 24일과 31일 오후 6시 마감
입장료:
정가 : 9 €
할인가 : 6€ (18-25세, 학생, 노인(60세 이상), Maison des Artistes 관련 사람들, 파트너 기관(CND, MAM, musée du quai Branly – Jacques Chirac) 및 파리 시의 현대 미술관 방문객.
무료 : 18세 미만, 언론인, 관광 가이드,, (입장 시 증빙 자료를 요청합니다)
입장권으로 모든 전시회는 물론 대부분의 행사 및 가이드 투어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